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수용 대상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ccc><bgcolor=#ddd><color=#000>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집단별 추정 '''수감자''' 수 및 비율[*A 프란치예크 파이퍼, <Auschwitz 1940–1945>에 수록된 자료에서 발췌] || ||<rowbgcolor=#f5f5f5,#000><rowcolor=#000,#fff> 집단 || 수감 인원 || 총 사망자 || 수감 비율 || 사망률 || || [[유대인]] || '''1,100,000명'''|| 960,000명|| '''84.1%'''|| 87.3%|| || [[폴란드인]] || '''145,000명'''|| 74,000명|| 11.1%|| 51.0%|| || [[집시]] || '''23,000명'''|| 21,000명|| 1.8%|| 91.3%|| || [[소련군]] || '''15,000명'''|| 15,000명|| 1.1%|| 100.0%|| || 기타 동유럽 민간인 || '''25,000명'''|| 10,000명|| 1.9%|| 40.0%|| ||<rowbgcolor=#f5f5f5,#000><rowcolor=#000,#fff> 총합 || '''1,300,800명'''|| 1,080,000명||<-2> ─ || 폴란드의 역사학자이자 후일 아우슈비츠 박물관 역사부분 관장이 되는 프란시예크 파이퍼(Franciszek Piper)는 면밀한 조사를 통해 대략 130만명이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그 중 약 85%인 110만여명이 살해당했다고 추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대인이 희생자 및 수감자 중 '''85%''' 정도를 차지했고 폴란드인 정치범이 10%, 집시 및 나머지가 5% 내외를 차지했다.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박물관에서도 이 수치를 공식적으로 인용하고 있다.[[https://www.auschwitz.org/en/history/auschwitz-and-shoah/the-number-of-victims/|#]]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ccc><bgcolor=#ddd><color=#000>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집단별 추정 '''사망자''' 수 및 비율[*A] || ||<rowbgcolor=#f5f5f5,#000><rowcolor=#000,#fff> 집단 || 기록 사망자 || 추정 사망자 || 총합 || 비율 || || [[유대인]] || 95,000명|| 865,000명|| '''960,000명'''|| '''88.9%'''|| || [[폴란드인]] || 64,000명|| 10,000명|| '''74,000명'''|| 6.9%|| || [[집시]] || 19,000명|| 2,000명|| '''21,000명'''|| 1.9%|| || [[소련군]] 포로 || 12,000명|| 3,000명|| '''15,000명'''|| 1.4%|| || 기타 동유럽 민간인 || 10,000명|| 최대 15,000명|| '''10,000[br](~15,000명)'''|| 0.9%|| ||<rowbgcolor=#f5f5f5,#000><rowcolor=#000,#fff> 총합 || 200,000명|| 880,000명|| '''1,080,000명'''|| ─ || 보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특히 유대인 중에서 기록되지 않은 희생자들이 많았는데, 노동불능인구라고 판단된 여성, 어린이, 노약자, 병약자 등이 '''도착과 즉시''' 기록도 되지 않은채로 처형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사망률을 보자면 로마족(=집시)이나 소련군 포로는 거의 예외 없이 모두 살해당했다고 추정되고 있으며, 유대인 역시 85% 가까이가 살해당했다. 반면 동유럽이나 폴란드 출신 정치범들은 그나마 사망률이 낮았다.[* 인간 이하의 짐승으로 판명된 유대인이나 열등인종 취급당한 러시아인들에 비하면 폴란드, 동유럽 출신 정치범들은 처형의 우선순위에서 한참 낮았기 때문에 그랬던 것이다.] 이 수용소에는 유대인뿐만 아니라 폴란드인, 집시, 소련인, 프랑스인, 체코인, 네덜란드인 등 나치 독일의 핍박을 받던 약 30여 개국 인종이 수용되었다. 또한독일인 수용자도 상당수 있었는데, 이들은 주로 중범죄자, 나치당에 반대하던 독일인, 정신장애인, 혼혈[* 친족들 대부분 순혈 독일인인데 외할머니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수용되기도 하는 등 조금이라도 다른 인종과 섞여 있다면 수용되었다.], 동성애자, [[여호와의 증인]] 신자[* 나치 독일은 군국주의 국가였는데 여호와의 증인에서는 교리상 군대를 부정한다.],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 등 나치가 보기에 독일 사회에 부정적이라고 판단되는 사람들이었다. [[https://www.reddit.com/r/HistoryPorn/comments/vagg4p/homosexual_prisoners_at_the_concentration_camp_at/|핑크색 삼각형을 붙인 동성애자를 찍은 사진. 1938년.]] >[[브와디스와프 슈피겔만|블라덱]][* 브와디스와프 슈피겔만. 홀로코스트의 생존자이자 아티의 아버지.]: 어느 노인이 있었는데 우리가 점호 받을 때마다 늘 시끄럽게 떠들어대는 거야... >(회상) >남자1: 난 저 유태인 놈들과 폴란드 놈들 사이에 있을 수 없어요! __나도 당신들처럼 독일인이란 말이요!__ 난 황제에게서 받은 훈장도 있어요. 내 아들은 군인이구요! >블라덱: 하지만 때리고 비웃기만 했지. >(회상 끝) >[[아트 슈피겔만|아티]][* 아트 슈피겔만. 블라덱의 아들이자 쥐의 작가.]: 그는 정말 독일인이었나요? >블라덱: 누가 알겠니? 독일인 죄수들도 있었으니까... __허나 독일인들에겐 이 친구 역시 유태인이었지!__ >---- >[[쥐: 한 생존자의 이야기|쥐]] 2부 2장 中.[* 합본 214p.] 이 사람은 결국 그 자리에서 경비병에게 폭행당해 사망했다고 한다.[* 블라덱은 어느 날 점호에 이 사람이 똑바로 서지 않자 경비병이 그를 끌고 가서 쓰러뜨리고 목을 우악스럽게 밟는 소리를 들었다고 했는데, 가스실로 보낸 것 같다고 하는 등 어떻게 죽었는지는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고 했다.] 물론 그 사람이 유대인일 가능성도 있는데, 왜냐하면 '혈통'만 유대인이지 본인의 정체성은 완전히 독일인으로 자리잡은 사례가 '''정말 많았기 때문이다.''' 이는 [[홀로코스트]] 문서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심지어 본인은 전혀 숙청 대상이 아니었음에도 자진해서 가족과 함께 이 지옥행을 자처한 사람도 있었다. 어느 독일인 여성은 집시 남성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는데, 남편과 자녀들이 아우슈비츠에 끌려가야 하는 운명에 처하자 자진해서 함께 떠났다고 한다. SS들이 몇 번이나 그녀를 꺼내주려고 했지만 본인이 한사코 거부해서 소용이 없었고, 결국 그녀는 가스실에서 자녀들과 함께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table align=center><nopad> [[파일:오시비엥침 수감자 뱃지.png|width=100%]] || 특별 감시가 필요한 죄수들은 위 표와 같은 삼각형 패치를 죄수복에 달고 다니게끔 했다고 한다. 현재 [[동성애]]자를 상징하는 분홍색 역삼각형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위 표의 반 사회분자는 [[집시]]나 [[노숙자]] 같은 이들을 의미한다. 물론 인종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이런 독일인들은 피수용자 중에서는 비교적 좋은 처우를 받았다고 한다. 프랑스인 같은 경우에는 적십자에서 소포도 받았다고 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비교적 좋은 처우의 예를 들자면 (아우슈비츠가 아니라 다하우 노동 수용소의 일이긴 하지만) 독일인 수용자의 주검에서 가죽을 벗기는 것이 금지된 것 정도를 들 수 있다. 다른 인종들 중 깨끗한 등과 가슴을 가진 자, 특히 문신을 한 자는 독극물로 죽여 가죽을 벗겨 무두질해 친위대원들이 자기 장갑이나 실내화, 말 안장을 만들어 쓰거나 핸드백을 만들어 애인에게 선물하거나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출처: 존 캐리의《역사의 원전》''146. 다카우 수용소의 의학 실험(1941~45)/ 프란츠 블라하''] 그 정도가 가장 심한 친위대원은 가죽을 벗겨 악기를 만들기도 했을 정도다. 절멸 수용소가 아닌 노동 수용소에서조차 가죽을 벗겨 치장품을 만든 게 발견 되었을 정도니, 절멸 수용소에서는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의 것을 만들었다고 해도 이상할 게 없다.[* 이 외에도 과시를 목적으로 머리카락을 모아다카펫을 만들어 전시한다거나 가스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유대인들이 몰려오자 이들을 구덩이에 집어던져 '''산채로 불태운 뒤 유대인 시체에서 나오는 기름을 다시 퍼부어 더 잘 타오르게 하는''' 등 상상을 초월하는 만행들이 버젓이 일어났다. 다만 홀로코스트 당시부터 알음알음 언급되었을 정도로 유명한 "[[인체 비누|유대인의 기름으로 만든 비누]]"는 실제 샘플도 발견되지 않았고, 신빙성도 없다는 것이 현대의 정설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았을 때, 유대인들을 "땔감으로도 못 쓸 종자들"로 취급했던 나치가 자신의 몸을 닦아내는 데 쓰는 비누를 유대인들의 기름으로 만들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 안 그래도 피골이 상접했던 유대인들을 아무리 불태운다 한들 넉넉한 기름이 나왔을 리는 없고.~~] 이후 소련군이 접근하자 나치 독일은 6만여 명의 수용자들을 서쪽으로 이동시켰고, 수용자들은 한밤중에 소집되어 서쪽으로 죽음의 행진을 했다.[* 생존자인 [[브와디스와프 슈피겔만|블라덱 슈피겔만]]은 당시 수용자들에게 담요 하나와 소시지 하나가 공급되었다고 증언했다. 참고로 이때 블라덱은 매우 운이 없었는데, 블라덱에게는 나치 관리들의 사무실에서 일하던 친구가 하나 있었는데 그 친구는 독일군 측의 분위기를 읽어 소련군의 진격과 아우슈비츠의 소개를 예측했고 블라덱을 포함한 몇몇 유대인들과 모의해 철수가 시작되면 안 쓰는 방에 숨기로 했다고 한다. 그들은 이를 위해 세탁소에서 일하는 친구를 통해 제복을 빼돌렸고, 식료품(배급받던 빵의 반이라고 언급된다.)과 관련 서류까지 다 모았으나 최후의 날 그 친구가 뛰어오며 나치가 이 수용소를 불지른다고 한다고 외치는 바람에 죽음의 행진 최후반 대열에 끼여 수용소를 떠났다고 한다. 하지만 소련군의 진격 때문에 정신이 없던 관리들은 수용소를 불태우지 않았다.(다만 이는 블라덱이 수용되어 있던 아우슈비츠 이야기이고 비르케나우라 불리던 제2아우슈비츠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 아우슈비츠도 30%는 파괴되었다고 한다.) 블라덱 일행은 며칠간의 행진 끝에 바이에른의 다하우 노동 수용소에 도착했다고 한다.] 초반에는 낙오하는 자들을 친위대가 사살했으나 눈이 오는 추운 밤 등 악천후가 계속되자 친위대가 굳이 사살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약한 사람들은 그대로 쓰러져서 죽거나 걷다가 넘어지면 밟혀 죽었다고 한다. 그렇게 걷다가 가축 수송용 열차에 한 량당 100명씩 실어서 옮기기도 했는데, 엘리 위젤의 증언에 따르면 내리지 못하면 죽는 것이었다고 한다. 열차가 멈췄을 때 겨우 내릴 수 있는 건 100명 중 열댓명에 불과할 정도였다고 한다. 빵과 물 같은 기본적인 식량 배급이 끊기자 곧잘 다툼이 벌어졌고, 아들이 아버지의 음식을 빼앗아 먹고 죽게 내버려 두는 아수라장도 흔하게 벌어졌으나 누구도 그것을 비도덕적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끝내 이동시키지 못한 수용자들도 있었으며, 6,000여 명에 달하는 이들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소련군이 이들을 해방하러 오기 전 그 끔찍한 수용소에서 어떻게든 무기와 폭탄을 준비해 최후의 저항을 일으켜 성공한 사람들도 있었다. 후술할 [[비톨트 필레츠키]]처럼 자진해서 아우슈비츠에 들어가 3년을 버티고 수용자들에게 식량과 외부 정보를 전달한 인물도 있었다. 소련은 이 수용 시설을 접수한 후 한동안 감옥으로 사용했는데, 아주 운이 나쁜 사람들은 나치에게 수용당한 건물에서 스메르시(소련 방첩대)에게 심문을 받은 뒤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투옥되었다고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